본문 바로가기
AI월드/⚙️AI BOOTCAMP_Section 1

프로젝트)게임데이터분석 및 기획안 작성_Day16~19

by khalidpark 2021. 1. 19.

이번 1주일은 주어진 데이터를 분석하고 , 데이터에 기반한 기획안을 작성하는 프로젝트 주간.

 

게임 데이터 팀에 합류했다는 가정하에

주어진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음 분기에 어떤 게임을 설계하면 좋을지에 대한 기획안을 작성하는 프로젝트이며

 

가장 중요한 핵심은

주어진 데이터를 최대한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인사이트를 뽑아낸 뒤,

그 인사이트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것.

그리고 그 과정을 최대한 쉽게 설명하는 것에 있다

 

또한 피해야 할 것으로는

보여주기 위한 의미없는 데이터 분석 ( 학교 과제가 아니다)

지나친 기술적 설명 ( 청중은 비개발자이다)

 

제2의 GTA 같은 게임을 만들어보자


주어진 데이터는 

[ 이름, 플랫폼, 출시연도, 장르, 제작회사, 북미매출액, 유럽매출액, 일본매출액, 기타지역매출액 ]

(매출액=출시일기준 누적매출액)

어떤 인사이트들은 얻을수 있을까?

 

* 연평균매출 데이터 추가 (누적매출 / 출시년수)

* 결측치 보완 , 매출단위 통일 (K) _ (기본단위 M이나 소수점으로 식별이 어려워 K 단위로 전환 후 작업)

 


- 1) 게임 회사들은 어떤 플랫폼으로 게임을 가장 많이 내놓을까?

데이터가 이야기해준다. 이 플랫폼이 가장 수요가 높다는 걸

(데이터 : 플랫폼 카운트)

 

- 2) 어떤 플랫폼의 매출이 가장 높을까?

예모든 플랫폼에 최적화로 런칭할 수 없다면, 어떤 플랫폼을 우선 공략할 것인가?

(데이터 : 플랫폼 , 연평균 매출액)

데이터시각화 방향 및 필요데이터 구성도

 

- 3) 위에서 선정한 플랫폼에서 어떤 게임 장르가 매출이 가장 높을까?

우리 게임회사의 전략은 우리가 잘 만드는 게임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잘 팔릴 게임에 우리를 맞춘다.

(비교데이터 : 해당 플랫폼의 장르 , 매출총액, 출시연도)

scatterplot

- 4) 주관적인 가설없이 철저히 데이터분석 (PCA) 만을 통해 얻을수 있는 결과는?

주어진 데이터 1차원적인 분석 너머, PCA를 통해 얻을수있는 인사이트가 있을까?

 

- 5) 지역에 따라 선호하는 게임 장르는?

- 6) 연도별 게임 트렌드는?

 

- 7) 매출이 높은 게임에 대한 분석과 시각화 프로세스는?

-- 7-1) 결론1) 시리즈물의 매출 추이?

상위 매출 50위를 비교해보니, 시리즈물의 비율이 단편보다 이정도 많았다 (마리오 , GTA , Call of Duty , Pokomon 등)

(비교데이터 : 매출 , 이름 , 그룹화 )

-- 7-2) 결론2) 제일 잘나가는 제작회사는?

규모가 작은 스타트업 게임회사라는 가정이라면,

게임을 잘만드는 게임제작회사와의 콜라보레이션으로 우선 런칭을 해보는건 어떨까?

(배그의 펍지 회사가 다른 게임회사들과 계속 M&A해서 합쳤던것처럼)

 


결과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들

현재 우리 회사의 상황분석

가설, 데이터분석 & 흐름, 분석결과 및 인사이트

게임이름, 장르, 집중타겟지역, 예상매출액, 게임발매주기, 플랫폼별 전략

 

 

(해당 게임장르를 좋아할확률 ,좋아하면 구매할 확률 등 => 베이시안정리 활용)

(지역별 플랫폼별 , 장르별 매출군집 시각화 => Kmeans+ 클러스터 활용)

(모든 변수를 차원축소해서 비교하면 나오는 연관선 분석 -> One hot encoding + PCA 활용)

 

 

참조할 사이트 : www.kocca.kr/cop/bbs/view/B0000147/1842858.do?searchCnd=&searchWrd=&cateTp1=&cateTp2=&useAt=&menuNo=201825&categorys=0&subcate=0&cateCode=&type=&instNo=0&questionTp=&uf_Setting=&recovery=&option1=&option2=&year=&categoryCOM062=&categoryCOM063=&categoryCOM208=&categoryInst=&morePage=&delCode=0&qtp=&pageIndex=1#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 콘텐츠제작종합지원센터, 지원사업, 인프라구축, 인력양성, 문화사업 운영, 연구보고서

www.kocca.kr

참조할 사이트 :rpubs.com/Evan_Jung/pca

 

RPubs -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분석 예제

 

rpubs.com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