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서 문제는 모집단의 표준편차(시그마)를 알수없다
그래서 대안으로 사용하는게 샘플의 표준편차(s)
DF (Degree of Freedom)의 값이 커질수록
표준정규분포 그래프와 점점 더 유사하게 맞춰진다
신뢰도 95% 기준에서
1) 모집단의 표준편차(시그마)를 안다면
왼쪽 식을 통해 신뢰구간파악 가능
2) 모집단의 표준편차(시그마)를 모른다면
샘플의 표준편차(s)를 사용하여 95%신뢰추정구간을 추정
샘플의 수가 커질수록 (DF가 커질수록)
t검정 0.025 값은 1.96 근사치로 간다
출처 : youtu.be/Uv6nGIgZMVw
728x90
'AI월드 > ⚙️AI BOOTCAMP_Section 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드백)게임데이터분석 및 기획안 작성 프로젝트_Day20 (0) | 2021.01.26 |
---|---|
프로젝트)게임데이터분석 및 기획안 작성_Day16~19 (0) | 2021.01.19 |
A/B 테스트의 기본개념_Day6(3) (0) | 2021.01.17 |
Multivariate Test,다변수테스트,A/B테스트와 비교_Day7(6) (0) | 2021.01.17 |
콜모고로프-스미르노브 검정_Day7(5) (0) | 2021.0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