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과 앞으로 금융산업이 어떻게 변화해 갈지를 미국, 중국, 일본을 비교하면 설명한 책
특히 서두에 2025년 일본에서 금융과 기술이 결합된 채 어떤 삶을 살아갈지 예시를 드는 장면은
굉장히 신선했고, 곧 실현될 것처럼 현실적이였다.
카테고리 | 미국 | 중국 | 일본 | 한국은? |
쇼핑 | 아마존 | 알리바바 | 쿠팡 | |
검색 | 야후 | 네이버 | ||
메신저 | 텐센트 | 라인 | 카카오 |
카카오와 네이버는 가상화폐, 블록체인 기술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찾아보게 되었다.
카카오의 블록체인 자회사 그라운드 X에서 출시한 서비스 '클립'은 암호화폐 지갑의 역할을 한다
다른 부분보다도 접근이 굉장히 편리하며 (앱스토어에서 별도로 설치없이, 카카오에서 바로 접속 가능)
카카오 이름이 있기 때문에 다른 서비스보다 더 신뢰가 간다는 장점이 있다.
마침 지금 '클립' 서비스를 가입하면 그라운드 X에서 만든 가상화폐 '클레이튼'을 무료로 지급하는 이벤트도 진행 중
zdnet.co.kr/view/?no=20210302154523
네이버 , 라인도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가상화폐 거래소와 가상화폐를 발급하고 있었으며
해당 가상화폐는 한국에서는 아직 구매되지 않는 걸로 판단되었다.
www.fnnews.com/news/202101291920063660
2020 코로나 시대 모든 자산이 급등하는 모습을 보면서
특히 한때 광풍이였던 비트코인이 다시 급상승하는 모습을 보면서
비트코인의 핵심은 무엇인지 고민하게 되었다.
개인적으로 비트코인 이슈의 핵심은 블록체인, 탈중앙화가 아닐까 싶다.
(비트코인이 거품인지 아닌지, 나중에 정말 모두가 자산으로 인정하는 날이 올지도 모르겠지만)
지금은 우리가 당연하게 생각하는 서비스와 기술 등이 사실은 알고보면
굉장히 비효율적이고,독점적이고, 누군가에게 지속적인 이익을 제공하는 불공평한 서비스라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개선서비스가 분명 다방면으로 나올것이라고 생각된다.
[비트코인 떡상을 보고 개발자가 느낀 것]
'독서월드 > 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업을 한다는 것 (맥도날드 창업자,레이 크룩) (0) | 2021.04.03 |
---|---|
👍슈독 (나이키창업자,필나이트) (1) | 2021.03.18 |
손정의 제곱법칙 (0) | 2021.01.19 |
나는 직장에 다니면서 12개의 사업을 시작했다 (0) | 2021.0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