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과 2021년은 코로나를 빼고 이야기할수없다.
더불어 무제한적으로 풀린 유동성으로 모든 자산의 가격이 엄청나게 상승했고,
이로 인한 사회문제들이 서서히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역사적으로 공간은 인간에게 어떤 의미를 주고,
권력은 공간을 어떻게 통제하였는지가 특히 흥미로웠다.
1. 젊은 청년들이 임대주택에 안주하면 안되는 이유
10년,20년동안 안전하게 임대주택에 거주하도록 하는 정책이 얼마나 위험한 일인지
저자는 21세기의 소작농이라고 표현했다.
자산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데 그 상승분을 포기하고 월세로 살아가는 건
정치인들에게 구걸하게 되고, 권력을 더 주게 된다는 이야기다.
굉장히 공감되는 이야기이고
정치는 절대 서민들을 위한 정책을 절대 펴지않는 다는 걸 다시한번 명심해야겠다.
그들 자체가 굉장한 특권을 가진 계층이며, 결국은 서민들을 더 잘 컨트롤하고 자신들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정책을 장기적으로 수립한다는걸 깨달아야 한다.
2. 학교의 역할
학교는 지식 전달의 기능, 사회 경험의 기능, 아이들을 돌봐주는 탁아소의 기능이 있다고 한다.
온라인클래스가 실행되면서 학교 선생님들의 지식 전달의 능력이 적나라하게 들어났다고 생각한다
유명 사교육 1타강사의 강의와 학교 선생님의 강의를 동일하게 컴퓨터로 접하게된 학생들은
공고육과 사교육의 차이를 더 분명하게 느꼈을 거라고 생각한다.
이런 상황에서 저자는 학교 선생님의 역할이 더 새롭게 확대되어야 한다고 이야기하고있다.
지식 전달 이상의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어야 한다고 한다.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될때 학생들에게 어떻게 사회 경험을 하도록 기회를 제공할 것인지,
맞벌이 부모의 자녀들을 어떻게 관리해 줄 것인지에 대한 논의와 해결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3. 새로운 부자
새로운 부자가 만들어지고 계층 간 이동 사다리가 복원되는 방법은 '새로운 공간'을 만들면 된다
공간을 압축하면 새로운 공간과 기회가 창출되고, 거기에서 새로운 기회들이 생긴다
경부고속도로로 서울과 부산의 시간거리를 압축하면서 1970년대 경제성장을 이끌어 낼수 있었고,
고속 인터넷망을 통해 인터넷 상거래와 IT벤처회사가 창업했다.
다음의 새로운 공간은 메타버스(가상공간)과 가상공간에서의 거래수단인 가상자산이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 내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된다.
'독서월드 > 글로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의 역습, 낯선 세상이 온다 (2030 시나리오)(중국 바이오) (0) | 2021.03.21 |
---|---|
그레이마켓이온다 (0) | 2021.01.11 |
댓글